인적자원개발(이론과 실천)3판
JRN | 03-27 | 11
저자 장원섭 | 학지사 | 2021.02.15페이지 416
장인의 교육
JRN | 12-05 | 236
저자 박복선, 크리킨디센터 전환교육연구소 교육공동체 벗 2019.09.30책소개일은 할 수 있다면 피하고 싶은 것이다. 그런가 하면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창조의 기쁨과 타자를 돌보는 보람에 대한 이야기도 적지 않다.둘 중의 하나만 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아마 대개는 극단의 사이 어딘가에 있을 것인데, 그곳이 어느 쪽에 가까이 있는지는 우리가 선택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다. 물론 그 실천을 이끄는 것은 ‘일’에 대한 넓고 깊은 안목일 것이다. 최근 ‘장인’이 다시 조명을 받는 것도 그러한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장인은 자기 일에 몰입하고, 자기 일에서 큰 성취를 이루고 보람을 느낀다. 그러한 특성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그러한 특성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인가? - 특집 〈장인의 교육〉 가운데[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04 여는 글 공정성이라는 늪 | 박복선 특집 장인의 교육 10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의 장인 | 장원섭 23 장인 교육은 가능한가 | 강화경, 노아름, 유동렬, 박진숙, 황덕신 삶의 기술 48 작은 빗자루 하나 | 박혜정 58 밧줄이 없었다면 문명은 가능했을까 | 김성원 65 언덕으로 올라가 거기 대장간을 지어라 | 안성균 77 내가 남긴 음식을 흙으로 돌려보내는 작은 생태계 - 서울 강동구 ‘퇴비 공원’ 스케치 | 이경은, 최승훈 기획 삶의 도구로서의 시 86 시의 힘과 쓸모 | 박일환 92 딱! 그 순간! | 에리카(여희영) 105 나의 시 나누기 | 조원배 120 누가 시를 읽는가 | 전유미 연재 130 최원형이 만난 사람② 김소영 성대골 마을닷살림협동조합 이사장 | 최원형 141 놀이를 파헤치고 해킹해 보는 놀이해부도감② 비눗방울 놀이 | 물고기(박지은) 특별 게재 160 즐거운 지식 - 삶의 기술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홍서연
미래를 여는 교육학
JRN | 11-27 | 226
저자 연세대학교 교수진 박영사 2019.02.28책소개이 책은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들이 함께 만든 교육학 입문서입니다. 독자들이 어떤 이유에서 이 책을 선택했든지, 이 책은 교육학의 다양한 학문적 관점들을 쉽게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문제를 인식하고 해법을 찾는데 필요한 교육학적 시야를 넓게 갖추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PART 1. 교육과 교육학의 토대 Chapter 1. 교육철학·사학?: 교육현상을 보는 철학과 역사의 눈황금중 1. 교육철학: ‘철학의 눈’으로 교육현상 보기 _ 5 (1) 교육철학의 개념과 교육학적 위상 _ 5 (2) ‘철학의 눈’과 교육철학 _ 6 2. 교육사학: ‘역사의 눈’으로 교육현상 보기 _ 12 (1) 교육사학의 개념 _ 12 (2) ‘역사의 눈’과 교육사학 _ 14 3.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그리고 교육사상사 _ 18 (1)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관계 _ 18 (2) 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접점으로서의 교육사상사 _ 20 4. 역사 속의 교육철학의 조류들 _ 23 (1) 진보주의(Progressivism)_ 26 (2) 본질주의(Essentialism)_ 29 (3) 항존주의(Perennialism) _ 32 (4) 비판이론(Critical theory)_ 35 (5) 실존주의(Existentialism) _ 38 (6) 자연주의(Naturalism) _ 42 (7) 마음주의(Mindfulism) _ 46 Chapter 2. 교육인류학: 문화적 과정으로서의 교육현상에 대한 탐구박순용 1. 교육인류학의 특징과 기원: 인류학과 교육의 만남, 그 이상 _ 55 (1) 19세기 _ 59 (2) 20세기 초·중반 _ 60 (3) 20세기 후반(1980년대~1990년대) _ 61 (4) 21세기 현재 _ 62 2. 인류학의 문제의식과 교육현장 새로 보기 _ 64 3. 문화기술지 연구의 접근방식과 활용: 왜 애쓰노그래피인가? _ 67 4. 결론: 교육인류학의 과제와 미래 _ 70 Chapter 3. 교육심리학?: 교육에 내재하는 인간 행동과 사고에 대한 과학적 탐구이희승 1. 교육심리학 이해하기 _ 79 (1) 교육심리학이란? - 교육심리학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인가, 심리학의 응용분야인가? _ 79 (2) 교육심리학의 역할 - 교사에게 교육심리학이란? _ 82 (3) 교육심리학자의 역할 - 여러분도 아마추어 교육심리학자! 교육심리학자가 당신과 다른 이유 _ 86 2.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_ 90 (1) 기술연구(Descriptive studies) _ 90 (2) 상관연구(Correlational studies) _ 92 (3)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ies) _ 94 3. 교육심리학 연구 살펴보기 _ 98 (1) 기대 및 신념과 학습_ 98 (2) 시험과 학습 _ 101 (3) 개인차와 학습: 학습양식 원리 _ 107 4. 결론 _ 110 Chapter 4. 교육과정: 교육 설계도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탐구홍원표 1. 복합적 개념으로서의 교육과정 _ 119 (1) 교육과정의 복합적 의미 _ 119 (2) 교육과정의 다양한 영역 _ 121 (3) 교육과정의 다층적 수준 _ 123 2. 교육과정 연구의 두 가지 접근 _ 126 (1) 교육과정 개발 _ 126 (2) 교육과정의 위기와 상반된 대응 _ 131 3. 우리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_ 135 (1) 국가 교육과정의 변천 _ 135 (2) 최근의 교육과정 흐름 _ 138 (3) 우리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과제 _ 141 4. 결론 _ 144 Chapter 5. 교육평가: 정보수집과 교육적 의사결정 과정이규민 1. 교육평가의 개념 _ 152 2.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1: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 _ 155 (1) 규준참조방식과 준거참조방식 _ 155 (2) 준거참조방식과 기준설정 방법의 적용 _ 157 (3) 북마크 기준설정 방법 _ 159 3.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2: 컴퓨터화 검사의 실용화 _ 162 (1)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_ 162 (2) 컴퓨터화 검사의 상용화 _ 166 4. 교육평가의 주요 동향 3: 수행평가의 활성화 _ 170 (1) 수행평가의 대두 _ 170 (2) 수행평가의 유형과 특성 _ 172 5. 결론 _ 175 PART 2. 교육과 교육학의 실천적 확장 Chapter 6. 교육행정: 교수-학습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필수적 지원 활동 김혜숙 1. 교육행정의 본질과 중요성 _ 183 (1) 일상에서 조우하는 교육행정의 모습 _ 183 (2) 교육행정의 본질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_ 185 (3) 교육행정은 언제부터 어떤 배경에서 대두되었나? _ 187 2. 교육행정의 개념 _ 189 (1) 다양한 교육행정의 정의: 조건정비적 관점의 강화가 필요하다 _ 189 (2) 교육행정은 교육의 특수성에 기반해야 한다 _ 192 (3) 균형성은 교육행정의 중요한 운영 원리이다 _ 194 3.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_ 196 (1) 고전이론: 과학적 관리를 추구한 교육행정 _ 196 (2) 민주적 교육행정의 모체, 인간관계론 _ 199 (3) 교육행정학을 성립시킨 행동과학론 _ 200 (4) 해석론과 새로운 비전통적 관점들 _ 201 4. 교육행정의 현재와 미래 _ 203 (1) 학문으로서의 교육행정학 _ 203 (2)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대세 관점이 되다 _ 205 (3) 교육행정에 포함되는 세부 분야들 _ 208 (4) 교육행정의 발전적 미래를 위하여 _ 211 Chapter 7. 교육공학: 교수학습에의 체제접근이명근 1. 교육공학의 태동 _ 219 2. 현대 교육공학의 발전 _ 222 3. 교육공학과 교수설계 _ 229 (1) 교수설계 _ 233 (2) 학습조건 설계이론의 적용 _ 247 4. 도전과 전망 _ 248 Chapter 8. 상담교육: 치유와 성장을 지향하는 상담전문가 양성서영석 1. 상담은 사회적 현상이다! _ 259 2. 상담은 소통이다! _ 261 3. 상담은 내담자에게 의존하는 효과적인 촉진자이다! _ 262 4. 상담사의 지향 _ 264 (1) 공감: 내담자의 심리정서적 고통을 경청과 이해로 함께 버텨주기 _ 265 (2) 진솔성: 가면이 아닌 솔직함으로, 과장하지 않은 채 전문가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기 _ 267 (3)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조건 없이 있는 그대로 사람을 수용하기 _ 269 5. 상담사의 전문적 역량 _ 271 (1)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지식 _ 273 (2)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기술 _ 274 (3)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태도 _ 275 (4) 상담사 역량으로서의 옹호_ 277 (5) 수행으로서의 상담 역량 _ 280 6. 결론: 상담, 생존과 도약을 위한 과제 _ 280 (1)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지식기반 확충 _ 281 (2) 우리 몸에 맞는 상담 윤리 마련 _ 283 (3) 역량 있는 상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자격제도 정비 _ 285 Chapter 9. 고등교육: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이병식 1. 고등교육의 기초 _ 293 (1) 고등교육의 의미와 경계 _ 294 (2) 고등교육의 목적 _ 295 (3) 고등교육의 변화 _ 296 (4) 고등교육의 가치와 역할 _ 298 2. 현대 대학의 이해 _ 300 (1) 복잡한 조직 _ 300 (2) 전쟁터 같은 교육과정 curriculum _ 302 (3) 멀티플레이어 교수의 특권 _ 304 (4) 모호한 테크놀로지 _ 305 3. 고등교육학 - 새로운 교육학들의 교육학 _ 308 (1) 대학총장을 위한 학문? _ 309 (2) 왜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 _ 309 (3) 어떤 새로운 지식이 필요한가 _ 310 (4) 대학원에서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_ 311 (5) 고등교육 지식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_ 313 (6) 고등교육 전문가는 어떻게 지식을 나누는가 _ 316 4. 결론 _ 317 부록 A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독특함 _ 318 (1) 보편화: 모든 사람을 위한 고등교육을 지향하며 _ 318 (2) 민영화: 높은 사립대학 의존도와 교육비 사부담 _ 320 (3) 정부주도(통제)형 _ 321 부록 B 어떤 책을 더 읽어볼까? _ 322 Chapter 10. 인적자원개발: 일터에서의 학습과 실천오석영 1. 인적자원개발이란 무엇인가? _ 333 (1) 인적자원개발의 정의 _ 333 (2) 인적자원개발과 관련 영역과의 관계 _ 339 2. 인적자원개발의 실천영역 _ 342 (1) 개인개발 _ 342 (2) 조직개발 _ 350 (3) 경력개발 _ 358 3. 결론 _ 364 Chapter 11. 일의 교육학: 평생학습시대의 일과 배움장원섭 1. 평생학습의 시대 _ 371 (1) 경제사회적 변화 _ 371 (2) 학교교육의 위기 _ 375 (3) 평생교육의 전개 _ 377 2. 일의 교육학 _ 385 (1) 일하는 존재로서 인간 _ 385 (2) 교육과 일의 관계 _ 388 (3) 일의 교육 _ 392 3. ‘오래된 미래’를 향한 일과 배움 _ 399 (1) 효율이 아닌 의미의 시대 _ 399 (2) 일과 배움의 전범으로서 장인 _ 401 (3) 장인성 형성의 평생학습 _ 402 Chapter 12. 비교교육학: 비교교육을 통해서 본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성원 1. 비교교육,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_ 414 (1)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필요성 _ 414 (2) 비교분석의 본질과 의미 _ 415 (3) 교육학의 ‘로컬’한 접근방법: 무엇을 왜 비교하는가? _ 416 (4) 국제와 비교의 상호 보완적 관계 _ 418 2. 비교교육학의 자리매김 _ 419 (1) 비교교육학의 역사적 발전과 변화 _ 419 (2)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_ 422 (3) 비교교육학의 대표적 정의와 기본 영역 _ 424 3. 비교교육학의 최신 이론과 연구 동향 _ 426 (1) 국제교육개발 _ 427 (2) 교육환경과 문화 비교연구 _ 430 (3) 교육정책의 비교연구 _ 433 4. 비교교육학 연구의 쟁점 _ 436 (1) 국가 중심적 분석법의 한계 _ 436 (2) 비교연구자의 역량과 자질 _ 438 (3) 비교적 접근방법 _ 439 5. 결론 _ 442 PART 3. 교육연구의 방법론적 이해 Chapter 13. 교육평가와 양적연구방법: 교육에의 과학적 접근강상진 1. 교육평가 개요 _ 451 (1) 교육평가와 교육학 _ 451 (2) 교육학의 과학적 탐구와 변수 _ 453 (3) 교육평가의 세부전공과 학문적 특징 _ 455 2. 양적연구방법의 내용 _ 457 (1) 연구방법 _ 458 (2) 통계방법 _ 468 3. 양적연구방법의 연구영역과 전망 _ 480 (1) 교육연구의 특수성과 교육통계학 _ 480 (2) 양적연구방법의 연구영역 _ 482 (3) 양적연구방법의 전망 _ 485 Chapter 14. 교육의 질적연구방법: 연구철학과 유용성박순용 1. 질적 연구의 역사: 포스트정초주의와 질적 연구의 확산 _ 491 2. 질적 연구의 정의와 특징 _ 496 (1) 질적 연구의 정의 _ 496 (2) 질적 연구의 특징: 양적 연구와의 비교 _ 498 (3) 질적 연구의 한계와 이에 대한 보완 노력 _ 502 3. 질적 연구에서의 글쓰기 _ 504 4. 질적 탐구를 위한 접근방법 _ 507 (1) 문화기술지 연구(ethnographic research) _ 508 (2)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research) _ 509 (3)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_ 509 (4) 근거이론 연구(grounded theory research) _ 510 (5) 사례연구(case study research) _ 511 색인513[예스24 제공]
다시 장인이다
JRN | 11-27 | 136
저자 장원섭 영인미디어 2018.02.28책소개우리는 과연 일다운 일을 하고 있는가?장인에게 배우는 진정한 일과 삶의 조화!전통적인 산업사회에서 노동은 공휴일만 기다리게 하는 고통스러운 일이었다. 정해진 시간에 따라 노동하고, 퇴근 시간이 되면 한시라도 빨리 일터에서 벗어나려고 눈치를 본다. 그러나 지금은 정보화 사회다. 시대가 바뀌고 환경이 바뀌었지만, 우리가 일하는 모습은 산업사회의 그것과 닮았다.삶의 리듬은 철저히 금요일을 바라보며 돈을 벌기 위해 최적화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노동시간이 많기로 1·2위를 다툰다. 과연 당신은 ‘일다운 일’을 하고 있는가? 아니, 일하는 당신은 정말 행복한가?저자는 삶의 리듬을 찾고 행복하게 일하기 위해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는 장인을 제시한다. 그러나 우직하게 일만 하는 산업사회에서 전통적인 직능 중심의 장인을 말하지 않는다. 영화배우, 세일즈맨, 교육자, 가수 등 분야를 막론하고 최고의 위치에 선 이들이 바로 새로운 장인이다.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문구에서 알 수 있듯이 일과 삶은 어느 하나를 포기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서로 조화를 이루고 같은 호흡을 통해 리듬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더 창조적이고 더 나은 가치를 추구할 수 있다. 저자는 이것을 전통적인 ‘장인 정신’과 구별해 ‘장인성’이라고 부른다.일에 대한 열정과 강한 사회적 욕구, 그 안에서 자기를 발견하는 현대의 의미의 장인은 행복하게 일하는 사람이다. 저자의 표현처럼 현대적 장인이란 곧 ‘일하는 사람의 전범(典範)’이다.장인은 일 속에서 끊임없이 자기를 발견하고, 행복한 삶을 누린다. 이 땅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은 장인이 될 수 있다. 일의 가치를 다시 찾고 생계유지를 넘어 존재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장인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장인성을 기르며 만들어지는 것이다. 당신은 행복하게 일할 것인가, 아니면 불행하게 노동할 것인가?[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머리말 제1장 왜, 지금 다시 장인인가 현대적 장인과 장인성 한눈팔지 않고 한 우물 파는 사람 / 장인 개념의 쓰임새 / 달인도, 프로도, 일인자도 넘어서는 장인 / 장인 정신이라기보다는 장인성(匠人性) 일의 의미를 상실한 시대 건물주가 꿈이라고? / 노동이 부끄럽다니 / 열정으로 페이하라? / ‘요즘 것들의 사표’일 뿐인가 / 돈 버는 기계? 제2장 장인이 행복한 사회 일과 삶의 조화: 카푸치노와 카페라테 모형 / 행복하게 일할 수 있을까 / 구시대의 유물일 뿐인가: 장인에 대한 편견 깨기 / 알파고 시대에 의미 있게 일하기 / 아니말라보란스 대 호모파베르 / 그래도 희망은 있다! 제3장 장인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타고나는가, 만들어지는가 우연도 필연으로 만든다 우연에 대처하라 / 지독하게 단련하라/ 생각하며 연습하라 / 손과 머리를 통합하라 / 재능보다는 의지다 / 작은 목표라도 달성하라 / 목표의 고도를 조금씩 높여라 일을 해방하고 창조한다 일에 대해 성실하라 / 일의 정직한 리듬을 지켜라 / 일의 주인이 되라 / 숙련의 깊이를 더하라 / 고숙련의 끝에서 창조력을 발휘하라/ 소소한 변화들을 꾀하라 / 자기 일의 지평을 넓혀가라 배움을 넓히고 베푼다 일 자체와 대결하라 / 서로 배워라 / 배움의 틀을 바꾸라 / 세상을 이롭게 하라 / 배워서 남 줘라 / 배움을 이어라 정상에 오르고 고원에 산다 워커즈 하이를 느껴라 / 걷고 또 걸어서 정상에 오르라 / ‘당신들이 나를 만들었다’ / 절정의 맛을 기억하라 / 스스로와 경쟁하라 제4장 장인이 성장하는 일터 일을 망치는 노동 현실 / 장인 성장의 긍정적 순환 모형 / 조직과 개인의 따뜻한 만남 / 조직의 장인 육성 체계 / 장인성 형성 프로그램 / 일의 회복을 위하여 / 결국은, 사람의 힘! 참고문헌 ...(하략)[예스24 제공]
교육과 일 : 사회학적 접근(2판)
JRN | 11-27 | 176
저자 데이빗 B.빌스 역자 장원섭 장시준 김영실 박영스토리 2017.08.25원제 The Sociology of Education and Work책소개이 책은 사회학적 접근의 교육과 일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사회학적 접근의 교육과 일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CHAPTER 01 교육과 일: 몇 가지 영역의 설정5 교육과 일의 모호한 관계5 사회학적 개념의 논쟁적 속성13 교육, 일, 그리고 그 외의 것?14 미국과 그 외 국가에서의 교육과 일15 교육, 그리고 일이 아닌 것17 이 책의 개요18 CHAPTER 02 학교교육과 사회경제적 성공: 관계설정25 학교교육과 사회경제적 성취25 학교교육과 사회경제적 성공에 관한 신화는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가?38 미국인들에게 “성공을 위한 학교” 모델의 지배력은 어떻게 설명되는가? :만병통치약으로서의 학교교육46 상반된 견해 49 CHAPTER 03 교육과 일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모델55 실력주의와 학력주의55 실력주의58 학력주의69 CHAPTER 04 실력주의 사회인가, 학력주의 사회인가?91 구조적 틀로서 지위획득 모델94 지위획득에 대한 몇 가지 연구 결과: 전반적인 동향과 유형97 고용주들은 교육과 학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가?111 요 약118 CHAPTER 05 후기 산업사회의 교육과 일123 현대사회의 구조123 후기 산업사회에 대한 다니엘 벨의 공표124 후기 산업주의의 구체적 특징과 교육과 일의 관계140 후기 산업사회에서 교육과 일 154 CHAPTER 06 인구 증가와 감소, 고령화, 그리고 새로운 문화의 다양성159 교육과 일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관점159 인구통계 입문161 베이비붐, 베이비 격감, 그리고 그 이후168 출산율의 민족적 차이176 사람들의 이주: 이민과 국내 이동179 생애경로의 변화185 인종, 무질서, 고령화의 인구통계학적 변화189 결국 이 모든 논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193 CHAPTER 07 고등학교의 변화, 고등교육의 대중화, 그리고 청소년 노동시장197 교육과 일의 연계에 있어서의 변화197 고등학교의 취업 준비과정으로의 역할 변화: 학교교육과 사회화 199 ...(하략)[예스24 제공]
장인의 탄생
JRN | 11-27 | 193
저자 장원섭 학지사 2015.10.30책소개장인은 누구인가? 장인은 어떻게 일하고 배워 성장하는가? 그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이 책은 그 답을 구하고자 쓰였다. 더 나아가 이 책은 장인이 최고의 경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어떻게 일하면서 배우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 책에서 장인은 일과 배움의 이념형으로 재개념화된다. 즉, 장인은 일과 배움의 전범(典範)으로서 어느 누구나 장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저자는 일과 배움의 현실을 장인의 이상적인 상태에 비추어 보고 현실을 극복하고 이상을 지향하고자 함으로써 모든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롤 모델을 보여 준다.이 책에서 다루는 장인의 범위는 넓다. 수공업 장인만이 아니라 국가 공인 명장, 전문직, 고숙련 신직업인, 문화예술 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총 20명의 장인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들은 해당 분야에서 15~40여 년간 일했고 최고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인정받는 사람들로서, 이들의 일과 배움 그리고 삶에 대해 3부 14장에 걸쳐 제시하고 있다. 1부는 우리나라의 장인들을 소개한다. 분야별로 장을 나누어 그들의 이야기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2부는 장인들의 이야기를 통해 그들의 일과 배움의 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인들의 이야기를 해체·재조합하여 주제별로 재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3부는 장인 사회를 향한 장인과 장인성의 현대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이 책은 2011년 저자의 관심에서 시작하였다. 2012년 봄부터 지원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고, 그해 가을부터 2013년까지 장인들을 인터뷰하여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으며, 2013년에 일본 장인들을, 2014년에 독일 장인들을 만났다. 그리고 2013년 가을부터는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출간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에도 2014년에 저자는 ‘한국형 현대 장인 육성 체제’를 공동 제안했고, ‘명장 보유 전수기술 기록 방안 및 시범 적용 사례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그리고 지금에 이르렀다. 저자의 장인 연구는 아직 끝나지 않았고 앞으로도 지속될 예정이다. 이 책은 그 여정의 일단락이다.목차머리글 왜 장인인가 1부. 장인들의 이야기 1. 전통수공업 장인 한복의 재탄생, 그리고 남김 백애현 한복 장인 실을 짜는 즐거운 삶 김영희 편물 장인 자연으로 빚은 세월의 혼 김진현 도자기 장인 2. 대한민국 명장 성실함으로 일군 에너지 절약 성광호 보일러 명장 좀이 쑤시는 단지 ‘쟁이’일 뿐…… 임용환 주조 명장 ‘못 고치는 차 고쳐 드립니다’ 박병일 자동차 명장 좋은 옷의 명맥을 고수하다 백운현 양복 명장 ‘진정한 이발사라면 머리카락 없는 사람도……’ 최원희 이용 명장 대형 프랜차이즈를 이긴 동네 빵집 안창현 제과 명장 3. 전문직 장인 세계와 겨루는 국제 중재 재판김갑유 변호사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의술 심찬섭 의사 4. IT 장인 좋은 IT 개발자란 이상선 IT 개발자 ‘계속 개발자로 살고 싶습니다’ 권찬영 SW 개발자 5. 문화예술 장인 무한한 ‘너머’의 세계를 꿈꾸며 오광섭 조각가 인생보다 더 진실한 뮤지컬 세계 이석준 배우 2부. 장인과 장인성 6. 장인의 재개념화 일하는 사람의 전범 누구나 될 수 있지만, 아무나 될 수는 없는 장인 장인 개념 찾아가기 장인의 현대적 의미 그렇다면 장인은 누구인가 7. 장인성 장인정신도 천재성도 아닌 장인의 특성에 대한 여러 판단 기준 장인에 대한 편견을 넘어서 장인정신이라기보다는 장인성 장인성의 형성적 특성 8. 장인의 길: 우연과 필연 우연이 만든 기회 지독한 학습으로 일군 필연 우연을 필연으로 장인의 길 9. 장인의 일: 해방과 창조 일의 해방 창조적으로 일하기 해방과 창조의 선순환 장인의 일 10. 장인의 배움: 넓힘과 베풂 배움의 계속 넓힘 배움을 나누고 잇기 넓힘과 베풂의 깊이 장인의 배움 11. 장인의 삶: 정상과 고원 정상의 희열 고원에서의 고통스러운 ...(하략)[예스24 제공]
인적자원개발(이론과 실천)2판
JRN | 11-27 | 229
저자 장원섭 학지사 2015.09.05책소개인적자원개발 현장은 하루가 다르게 변모한다. 어느 조직이든 극심한 경쟁 상황에 놓여 있고, 다양하고 변덕스러운 수요자들의 요구에 재빠르게 부응해야 한다. 그런 가운데 조직 구성원들은 필요한 역량을 끊임없이 개발해야 한다. 인적자원개발학도 이런 실천 현장의 움직임에 발맞추어 갈 수밖에 없다. 인적자원개발의 이론과 실천을 다룬 이 책의 초판을 출간한 지 불과 4년 만에 개정판을 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개정판은 초판의 기본 틀을 유지하였지만,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을 수정하거나 보완했다.[예스24 제공] 목차2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인적자원개발의 정체성 탐색 제1부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제1장인적자원개발의 개념 1. 인적자원개발의 의미 2. 인적자원개발의 유사 개념 제2장인적자원개발의 역사 1. 인적자원개발의 전개 2.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의 역사 제3장인적자원개발의 이론 1. 인적자원개발의 이론적 관점 2. 인적자원개발의 학문적 가능성 제2부 인적자원개발의 실천 제4장인적자원의 육성체계 1. 인적자원의 채용과 육성 2. 조직에서 요구하는 역량 3. 인적자원 육성체계 제5장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 교수체제개발모형 2. 분 석 3. 설 계 4. 개 발 5. 대안적 접근법 제6장일터에서의 학습 1. 성인의 특성 2. 성인학습이론 3. 교육 방법의 유형 4. 조직학습 5. 일터의 학습조직화 제7장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1.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의의 2.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이론 3. 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과 방법 4. 인적자원개발의 책무성 제8장후기산업사회에서의 경력개발 1. 경력개발의 의미 2. 경력개발이론 3. 경력개발 방법 4. 새로운 경력개발 제9장조직개발과 변화 1. 조직개발의 의의 2. 조직변화모형 3. 조직개발 개입 방법 4. 조직개발과 사회적 자본 제10장인적자원을 통한 성과향상 1. 성과의 의미와 특징 2. 인적자원을 통한 성과모형 3. 인적자원개발의 성과 패러다임 제3부 인적자원개발의 전망 제11장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1.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역할과 역량 2.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화 3. 인적자원개발 전문가의 과제 제12장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1. 인적자원개발에서 정부 개입과 시장 접근법 2. 국가인적자원개발의 전개 3.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정책 사례 4.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전망 제13장인적자원개...(하략)[예스24 제공]
일터학습(2판)
JRN | 11-27 | 172
저자 장원섭, 장지현, 김민영 교문사 2015.08.12책소개교육적 관계 맺음은 ‘나’가 외재화된 ‘우리’의 공동체성 형성과 다시 ‘우리’가 내재화된 ‘나’의 정체성 구성이 순환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 책은 교육학적 관계론에 기초하여 일터에서의 함께 배우기를 다룬다. 교육학적 관계 맺음이 일터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그 결과는 무엇인지, 그래서 일터학습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다룬 글들을 담고 있다.[예스24 제공] 목차01 조직학습과 기업의 배움력 02 초기 경력자의 조직사회화 03 실행공동체의 개념과 이론 04 실행공동체 공식화와 조직학습 05 비정규직 초기 경력자의 학습과정과 정체성 형성 06 멘토링과 개발지원관계망 개념과 이론 07 멘토링 관계와 조직의 비재무적 성과 08 초기 경력자의 멘토링 관계망 특성과 멘토링 기능 09 초기 경력자의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조직사회화 10 대졸 여성 초기 경력자의 일터에서의 대인관계와 조직 내 학습과 적응 11 성인의 함께 배우기-공동육아에 참여한 부모들의 사례 12 일터에서의 지식창출활동-P사 S팀의 사례 13 기업의 팀학습 변천과정-L사의 사례 14 신생팀의 학습활동-의도적으로 통합된 E사 C팀의 사례
팀의 해체와 놋워킹 (활동이론으로 보는 일터의 협력과 학습)
JRN | 11-27 | 155
저자 위리외 엥게스트룀 역자 장원섭, 구유정 학이시습 2014.03.20원제 From Teams to Knots: Activity-Theoretical Studies of Collaboration책소개‘팀’은 일과 학습을 구조화하는 효율적이고 인간적인 방식으로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이 책은 미국과 핀란드에서 10년에 걸쳐 수행한 TV 방송 제작 팀, 법률 재판 팀, 의료 지원 팀, 초등학교 교사 팀, 산업 기계 팀, 이동통신 콜센터 팀의 사례 연구를 통해 팀이 역사적이고 보편타당한 협력 방식이 아님을 드러낸다. 팀은 쉼 없이 변하는 목표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유연한 ‘놋(knots)’ 형태로 점차 변모하고 있다. 이 책은 일과 학습의 방식이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문화역사적 활동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팀의 해체와 변화, ‘놋’과 ‘놋워킹(knotworking)’의 출현, 지식 창출과 확장학습 사례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 ** 커뮤니케이션북스 큰글씨책은 다양한 독자층의 편안한 독서를 위해 기존 책을 135~170퍼센트 확대한 책입니다. 기존 책과 내용과 쪽수가 같습니다. 주문받고 제작하기에 책을 받아 보는 데 3~4일 소요됩니다.[알라딘 제공] 목차역자 해설저자 서문01팀과 일의 변천02방송 제작 팀의 방해 관리와 숨기기03적과의 팀워크: 법정에서의 조정, 협동, 그리고 소통04의료 지원 팀의 대체와 혁신05교사 팀에서의 경계 넘나들기06제조업 작업 팀에서의 지식 창조07팀, 인프라, 그리고 사회자본08‘쇠 우리’에서 바람을 타는 ‘그물망’으로09조직에서 유동적 놋워킹과 행위 주체참고 문헌찾아보기
일터 학습
JRN | 11-27 | 129
저자 장원섭, 장지현, 김민영 럭스미디어 2012.07.20책소개교육학적 관계론으로 배우는 일터학습!『일터학습 함께 배우기』는 교육학적 관계론에 기초하여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를 다룬다. 교육적 관계 맺음이 일터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그 결과는 무엇인지, 그래서 일터학습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다룬 글들을 담아냈다. 이 책의 1부는 조직학습과 조직사회화를 설명한다. ‘조직학습’이 ‘우리’라고 하는 외재성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함께 배우기에 가까운 반면, ‘조직사회화’는 ‘나’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내재성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함께 배우기다. 2부부터 4부는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의 여러 현상들을 다룸으로써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또한 그 실천 현상들을 양적 또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경험적으로 연구한 결과들을 여러 장에 걸쳐 담아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part I/조직학습과 조직사회화 01|조직학습과 기업의 배움력 02|초기 경력자의 조직사회화 part II/실행공동체(CoP) 03|실행공동체의 개념과 이론 04|실행공동체 공식화와 조직학습 05|비정규직 초기 경력자의 학습과정과 정체성 형성 partIII/멘토링과 개발지원관계망 06|멘토링과 개발지원관계망 개념과 이론 07|멘토링 관계와 조직의 비재무적 성과 08|초기 경력자의 멘토링 관계망 특성과 멘토링 기능 09|초기 경력자의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조직사회화 10|대졸 여성 초기 경력자의 일터에서의 대인관계와 조직 내 학습과 적응 partIV/문화역사적 활동이론 11|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개관 12|성인의 함께 배우기-공동육아에 참여한 부모들의 사례 13|기업의 팀학습 변천과정-L사의 사례 14|일터에서의 지식창출활동-P사 S팀의 사례
인적자원개발(이론과 실천)
JRN | 11-27 | 154
저자 장원섭 학지사 2011.08.23책소개이 책은 인적자원개발의 전체 체계를 망라하고 있다. 인적자원개발의 이론과 실천의 줄기를 총체적으로 조망할 뿐만 아니라 그 가지까지 세세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1부는 인적자원개발의 기초로서 개념, 역사 그리고 이론을 다룬다. 제2부는 인적자원개발 실천 활동을 정리한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인적자원개발의 발전을 위한 전망을 내놓고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머리말: 인적자원개발의 정체성 탐색 제1부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제1장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제2장 인적자원개발의 역사 제3장 인적자원개발의 이론 제2부 인적자원개발의 실천 제4장 인적자원의 육성체계 제5장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제6장 일터에서의 학습 제7장 교육프로그램의 평가 제8장 후기산업사회에서의 경력개발 제9장 조직개발과 변화 제10장 인적자원을 통한 성과향상 제3부 인적자원개발의 전망 제11장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전문성 제12장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제13장 인적자원개발의 전략과 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육과 일: 사회학적 접근
JRN | 11-27 | 142
저자 데이빗 B.빌스 역자 장원섭, 장시준, 김영실 원미사 2007.02.22원제 (The)sociology of education and work책소개교육과 일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을 시도한 책. 교육, 일, 기술, 학력주의와 실력주의, 후기 산업주의, 인구학, 직업교육과 청소년 노동시장, 성인교육과 학습사회 등 기본적인, 그러나 혼란스럽게 사용하는 용어들을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그 개념들 사이에 복잡하게 얽힌 관계들을 주도면밀하게 풀어내고 있다. 저자는 다양한 경험적 증거들을 냉철하게 검토하면서, 폭넓은 식견과 논리로 그 관계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1 교육과 일: 몇 가지 영역의 설정 2 학교교육과 사회경제적 성공: 관계설정 3 교육과 일의 관계에 대한 두 가지 모델 4 실력주의 사회인가, 학력주의 사회인가? 5 후기 산업사회의 교육과 일 6 인구 증가와 감소, 고령화, 그리고 새로운 문화의 다양성 7 고등학교의 변화, 고등교육의 대중화, 그리고 청소년 노동시장 8 학습사회의 가능성 9 교육과 일의 미래
일의 교육학
JRN | 11-27 | 151
저자 장원섭 학지사 2006.05.30책소개일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을 시도한 책. 전통적으로 직업교육 또는 직업훈련이라고 일컬어졌던 일과 관련한 교육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일의 교육을 직무수행을 위한 훈련, 직업경험을 통한 학습, 그리고 노동세계에 관한 교육의 세 가지 영역 또는 이론적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여 일에 관련된 훈련, 학습, 교수를 포괄하는 의미로 일의 교육을 개념화하고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였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머리말 = 3제Ⅰ부 일의 교육학 전개제1장 일의 교육의 개념 = 191. 일의 교육의 의미 = 192. 전통적 개념들 = 21제2장 일의 교육사 = 291. 일과 교육의 역사 = 292. 학교에서 일의 교육의 기원: 미국의 사례 = 483. 우리나라의 일의 교육사 = 59제3장 일의 교육으로의 전환: 직업교육의 재개념화 = 991. 전통적 직업교육 개념 = 1002. 새로운 일의 교육 개념 = 1043. 보다 더 일반적인 일의 교육 = 116제Ⅱ부 일의 교육학 이론제4장 직무수행을 위한 훈련 = 1211. 직무훈련의 이론적 관점 = 1212. 직무훈련의 모형 = 1283. 직무훈련이론의 한계 = 143제5장 직업경험을 통한 학습 = 1451. 경험학습이론 = 1452. 신직업교육주의 = 1513. 일터에서의 학습 = 1614. 경험을 통한 학습의 의의와 한계 = 176제6장 노동세계에 관한 교육 = 1811. 마르크스의 노동과 교육론 = 1812. 비판적 일의 교육 = 1843. 일터의 인간화 교육 = 1914. 비판적 접근의 평가 = 200제7장 일의 교육학의 이론적 패러다임 = 2031. 일의 교육 패러다임 = 2032. 일의 교육학의 이론적 관점들 = 2063. 맺음말 = 210제Ⅲ부 일의 교육학 주제들제8장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 개념과 이론적 틀 = 2171. 학교-일의 세계 전환의 개념적 틀 = 2172. 학교-일의 세계 전환의 이론적 틀 = 2203. 학교-일의 세계 전환 준비와 방법 = 226제9장 고등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 현실과 정책방향 = 2331. 고등학생의 일의 세계로의 전환 실태 = 2342. 외국의 학교-일의 세계 전환 = 2523. 맺음말 = 265제10장 실업계 고교 졸업자들의 일의 세계로의 전환에서 시장과 제도 요인 = 2691. 개념적 토대와 관련 연구 = 2702.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2723.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 = 2774. 논의와 결론 = 282제11장 고등...(하략)
인적자원개발론
JRN | 11-27 | 173
저자 JERRY W. GILLEY 역자 장원섭 학지사 2005.09.14원재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책소개 HRD의 원리와 실제 전반을 정리하고 있다. HRD의 기본 개념부터 그 실천과 전략에 이르기까지 다루고 있으며, 동시에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목차제1장 인적자원개발: 도입...11제1부 HRD의 구성요소제2장 개인개발...35제3장 경력개발...67제4장 수행관리...107제5장 조직개발...149제2부 HRD 전문가의 역할과 역량제6장 학습촉진자, 교수설계자, 수행공학자...175제7장 HRD 컨설턴트...201제8장 HRD 리더...237제3부 HRD의 실천제9장 분석...271제10장 교수설계...319제11장 학습...337제12장 학습전이...371제13장 평가...401제4부 HRD의 신뢰성 제고제14장 전략적 사업 동반자 관계...427제15장 조직에서 HRD의 촉진...463참고문헌...491찾아보기...507
교육과 일의 사회학
JRN | 11-26 | 158
저자 장원섭 학지사 1997.11.03책소개 사회 이동과 네트워크 이론에 관한 이론을 1부에 전개하고 2부에는 1부에서 논의한 이론적 관점을 토대로 학교에서 일의 세계로의 전환 과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논문을 수록했다. 마지막 3부에는 교육과 일의 필 연적 관계를 결론으로 밝히고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001. [사회이동 연구의 기초]002. 사회이동의 개념과 유형003. 사회적 지위 평가 방법들004. [사회 이동에 관한 전통적 이론들]005. 기능론적 관점:사회 이동의 개인적 접근006. 갈등론적 관점:사회 불평등에 관한 구조적 접근007. 전통적 사회이동 이론에 대한 평가008.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의 전개]009.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의 개관010. 고용에 관한 네트워크 이론011. 구직과 사회적 접촉의 역할:노동 공급자의 측면012. 신구조주의와 고용:노동 수요자의 측면013. 제도적 네트워크014. [토너먼트식 이동과 첫번째 직업의 중요성]015. [구직 행위와 노동시장 성공]016. [노동시장에서 개인적 네트워크의 역할]017. [조직의 특성과 고용방법]018. [학교 졸업자의 고용 경로와 사회적 네트워크]019. [결론]